ICT뉴스
반도체 다음은 AI…2026년까지 100만 디지털 인재 키운다 | |||
작성일자 | 2022.08.23 | 조회수 | 22115 |
---|---|---|---|
첨부파일 | 없음 | ||
정부가 2026년까지 디지털 인재 100만명을 양성한다는 계획을 내놨다. 디지털 학과 정원을 늘릴 수 있도록 대학 규제를 완화하고 초등학교와 중학교에도 디지털 교육 시수를 2배 이상 늘린다.
디지털 신기술에는 인공지능, 블록체인, 일반 SW, 빅데이터, 메타버스, 클라우드, 사물인터넷, 5G·6G, 사이버보안 등이 포함된다. 교육부에 따르면 현재 디지털 분야의 인재 규모는 2021년 정부 재정사업 기준 약 9만9000명이다. 정부는 향후 5년 동안의 인재 수요를 약 73만 8000명으로 예상했다. 현재 추세로는 49만명 정도의 규모가 유지되는데 추가로 50만명 이상을 양성한다는 목표다. 정부는 관련 산업뿐만 아니라 사회 전 영역에서 디지털 인재를 필요로 하는 만큼 수요가 더 커질 수 있다고 봤다. 디지털 학과 정원 규제 푼다학사급 이상의 디지털 전문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반도체 분야에 적용한 대학 규제개혁과 계약학과 확대 방안을 디지털 분야에도 적용한다. 앞서 정부는 반도체 등 첨단분야에 한해 학과 신‧증설, 정원 기준을 완화했다. 기존에는 교원‧교지‧교사‧수익용 재산 등 4대 요건을 모두 갖춰야 증원할 수 있었지만, 교원 확보율만 충족해도 정원을 늘릴 수 있게 했다. 수도권 대학에서는 최대 8000명까지 정원을 늘릴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디지털 영재 육성 방안으로 영재학급을 기존 30개에서 2025년 70개까지 확대 운영한다. 영재학교·과학고에서는 인천‧충북과학고에서 시범 운영 중인 SW‧AI 특화 교육과정에 대한 지원이 강화된다. 또 교육부는 특성화고 중 디지털 분야에 특화된 학교를 마이스터고로 지정하고, 특성화고에 기업과 연계한 ‘채용연계형 직무교육과정’을 신설해 현장교육과 취업 컨설팅을 제공하기로 했다.
초등학생부터 AI 교육…기존 2배로 확대인문사회 등 다른 계열에도 디지털 기술을 적용할 수 있도록 전 국민을 대상으로 한 정책도 추진한다. 대학에선 비전공자도 참여할 수 있는 집중 연계 교육과정(부트캠프)을 도입한다. 예를 들어 주 5회 8시간씩 16주 과정으로 총 640시간 동안 집중적으로 교육을 받는 식이다. 이미 많은 학생이 학교를 휴학이나 졸업한 후 외부 교육에 참여하고 있어 대학 내에서 전공과 관련한 디지털 역량을 키울 수 있게 한다는 취지다. 이수한 교육과정에 대해서는 대학 자율로 학점이 인정되고 ‘마이크로 디그리’를 받을 수 있다. 초‧중등교육에서도 변화가 예고됐다. 2025년부터 정보교육 수업시수가 초등학교 34시간, 중학교 68시간 이상으로 지금보다 2배 늘어난다. 전체 수업시수는 변하지 않지만 창의적 체험활동 등 학교 자율시간을 활용해 정보 수업을 확대 편성한다는 계획이다. 고교학점제가 전면 도입되는 2025년부터는 온라인 고교 등을 통한 공동교육과정을 운영해 학생들이 SW‧AI 과목을 선택할 수 있게 된다. 오석환 교육부 기획조정실장은 22일 브리핑에서 “초등교육 과정에서는 놀이 중심의 알고리 체험이나 블록 기반의 컴퓨터 언어 경험이 이뤄지도록 하고, 중학교에서는 코딩을 활용한 실생활에서의 문제 해결, 고등학교는 알고리즘의 설계까지 교육과정 내에 포함하겠다”고 말했다. 구체적인 교수 학습과 평가 방법은 이달 말 발표될 정보 교육과정 시안에 포함될 예정이다. 지역 교육격차 우려도하지만 수도권 대학이 디지털 분야 학과 정원을 늘릴 수 있게 되면서 지역 대학이 학생을 빼앗길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앞서 반도체 인재 양성 방안이 나왔을 때도 지방대 반발이 거셌다. 교육부 관계자는 “반도체 분야는 수도권과 지역 간 차이가 나타나지만 디지털 학과는 전국적으로 분포되어 있어 수도권 집중 현상이 상대적으로 낮을 것”이라고 말했다. 도농 간 교육 격차가 커질 것이라는 지적도 있다. 교육부는 농어촌 지역 등 교육소외지역 학교에 실습수업 보조 강사 역할을 할 디지털 튜터를 배치할 계획이다. 교원 양성에 대해서는 사범대 등 양성기관과 시도교육청과 협의를 거쳐 증원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장윤서 기자 chang.yoonseo1@joongang.co.kr 출처 :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0960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