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4,000억 들여 'AI 조선소' 만든다 정부가 조선업 원가 경쟁력 확보를 위해 인공지능(AI) 기술을 적용한 스마트 조선소 건설을 추진한다.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 14일 거제를 찾아 조선업육성책을 내놓겠다고 발표한 데 따른 후속조치다.
30일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정부는 한국형 스마트야드(K-Yard) 사업에 대한 예비타당성 절차를 올해 안에 시작하기로 했다. 총예산은 4,000억원. 중앙정부가 2,500억원, 지자체와 민간이 1,500억원을 투입한다. 정부는 우선 스마트 조선소의 시뮬레이션 모델을 개발한 뒤 조달·건조 등 생산 흐름을 파악하는 가상현실(VR) 기반 생산 플랫폼을 구축하고 인공지능(AI), 사물인터넷(IoT) 기술을 이용해 자재와 블록 위치 등의 모니터링 시스템을 도입할 계획이다. 이후 이를 바탕으로 최적의 선박건조 모델을 확립하고 구조조정 등 혁신이 필요한 중형조선사 두 곳에 도입하기로 했다.산업부 관계자는 “이번 사업의 뼈대는 오는 2020~2025년까지 6년간 스마트 조선소 두 곳을 시범사업 형태로 구축하는 것”이라며 “조선소를 구성하는 사람, 설비·공정·제품 등을 연결해 지능화된 선박건조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고 말했다. 이어 “시범사업이 성공하면 이 모델을 전 조선소에 도입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정부가 글로벌 조선 시장에 훈풍이 불어오고 있음에도 중형조선소를 중심으로 스마트화를 추진하는 것은 중국에 빼앗긴 중형벌크와 탱커 시장을 되찾아오기 위해서다. 조선업 전체로 보면 한국은 올 들어 전 세계 선박발주량 1,781만CGT(표준화물 환산톤수)의 43%인 756만CGT를 기록해 2위인 중국을 따돌리고 1위를 차지했다. 하지만 연구개발(R&D) 수준이 떨어지는 중소조선사는 상황이 다르다. 정부 지원을 발판으로 가격경쟁력을 앞세운 중국에 밀린 상태다. 실제 국내 해운사인 폴라리스쉬핑이 올해 케이프 벌크선을 중국에 발주했는데 당시 한국 조선사가 제시한 가격은 5,000만달러, 중국은 4,700만달러를 써낸 것으로 알려졌다. 결국 국내 중형조선사의 올 1·4분기 수주는 탱커 4척에 불과했고 2014년 10%까지 올라갔던 세계 시장 점유율은 2016년에 4%까지 떨어졌다. 정부는 스마트야드 사업을 통해 생산성을 20% 늘리고 생산원가를 10%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업계 관계자는 “대형조선사들이 다시 중국을 앞지를 수 있는 배경은 중국의 값싼 수주에도 불구하고 한국 조선업의 축적된 기술과 시장 신뢰도”라며 “중형조선사를 중심으로 스마트 조선소가 도입된다면 중형선박 시장에서도 중국을 앞설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스마트 조선소 구축은 4차산업 분야의 전후방 연관 효과도 적지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사업추진 과정에서 빅데이터 분석이나 IoT 등 4차산업 관련 기술이 대거 필요한 만큼 관련 기업들의 기술개발과 매출증대 효과가 기대되기 때문이다.
스마트 조선소 구축에는 조선업 구조조정으로 타격을 받은 경상남도가 적극적인 참여 의지를 보이고 있다. 현 정부 실세인 김경수 지사도 지역경제 살리기를 위해 조선소 활성화에 관심을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산업부 내에서는 예비타당성 조사를 거치며 예산이 확대될 것이라는 기대감도 적지 않다.
여권 관계자는 “문재인 대통령을 비롯해 김경수 지사까지 나서 스마트야드 사업에 대한 의지를 드러내고 있어 스마트 조선소 건설에 힘이 실릴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취임 일성으로 중후장대 산업의 부활을 강조한 성윤모 산업부 장관도 올해 안에 조선을 비롯해 자동차·철강 산업 진흥대책을 내놓을 것으로 알려졌다. /세종=박형윤기자 manis@sedaily.com
출처 : http://www.sedaily.com/NewsView/1S4U73A65O?OutLink=nstan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