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CT뉴스
[단독] 칼럼 읽더니 "외식 싫어하네요" 필자 성격 알아낸 AI 왓슨 | |||
작성일자 | 2017.09.07 | 조회수 | 5424 |
---|---|---|---|
첨부파일 | 없음 | ||
[단독] 칼럼 읽더니 "외식 싫어하네요" 필자 성격 알아낸 AI 왓슨
IBM·SK C&C, 왓슨 한국어 서비스
[중앙일보 임미진 기자] ‘기계적으로 착착 물려 돌아가는 바흐의 건반 음악은 쾌감을 주고, 애상 짙은 슈베르트의 선율도 아름답다. 그러나 간혹 그런 음악들이 지루하다 싶을 때 베를리오즈를 불러내 와장창 한바탕 푸닥거리를 벌인다. 환상교향곡은 내게 그런 곡이다.’
음악 칼럼 중 한 토막이다. 이런 글을 A4 용지 분량으로 두어 장 읽었다면 당신은 필자에 대해 얼마만큼 짐작할 수 있을까. 클래식을 좋아하니 차분한 성격인가? 베를리오즈를 즐기는 걸 보면 열정적인 편일까?
인공지능은 필자에 대해 훨씬 다양한 추측을 내놨다. “모험 영화를 좋아하고 논픽션을 즐겨 읽을 것 같아요. 외식은 안 좋아하고, 물건 살 때 소셜미디어 평가는 신경쓰지 않죠? 옷은 스타일보다 편안함을 따져 사는 편 아닌가요?”
이런 분석에 대해 필자는 “거의 다 맞다”고 답했다. 중앙일보 사진부 최정동 기자가 IBM의 인공지능 프로그램 왓슨의 한국어 서비스를 국내에서 처음으로 체험한 결과다.
‘족집게’ 분석을 내놓은 건 ‘왓슨 퍼스낼러티 인사이츠(Personality Insights·성향 분석·이하 PI)’로 불리는 서비스다. IBM과 SK C&C가 6일 공개한 왓슨의 여덟 가지 한국어 서비스 중 하나다. 영어 버전으로는 IBM이 지난해 내놨지만, 한국어 버전의 서비스는 이번에 처음 소개됐다.
왓슨 PI는 글을 읽고 필자가 자주 쓰는 표현이나 단어, 핵심 주장 등을 검토한 뒤 성격·가치관을 분석한다. 분석에는 사람의 성격을 크게 다섯 가지 유형으로 나누는 심리학 모델 빅5(BIG5)를 활용한다.
체험은 서울 여의도의 한국IBM 사무실에서 진행됐다. 기자는 왓슨 PI에 최정동 기자가 중앙SUNDAY에 연재한 음악 칼럼을 두 편 입력했다. 글자 수로는 4500자, 단어로는 1250개 남짓한 비교적 짧은 분량이었다. 이 글 두 편을 읽고 왓슨은 필자에 대해 “개방적이고(100%) 사려깊은 편(76%)이면서, 감정 기복은 적고(22%) 공감 능력은 떨어진다(7%)”고 분석했다. 또 “소비는 계획을 세워(84%) 실용적으로(73%) 하는 편이며, 쾌락을 추구하거나(34%) 성공에 매달리는 성격은 아니다(11%)”고 분석했다. 최 기자는 “분석이 실제 내 성격과 흡사하다”고 말했다.
SNS 연계, 기업 맞춤형 마케팅에 활용될 듯
이런 분석이 가능한 건 방대한 양의 글을 읽고 이를 필자의 성격과 비교해 보는 공부를 이미 했기 때문이다. IBM 연구팀이 수십만 건의 한국어 글을 왓슨에 입력하며 “이런 글을 쓴 사람은 이런 성격”이라고 가르쳤다는 얘기다. 왓슨은 그 데이터에 기반해 새로운 글을 접할 때 ‘이런 글을 쓴 걸 보니 아마도 이런 성격일 것’이라고 짐작하게 된다.
이런 PI 서비스는 기업의 맞춤형 마케팅에 적극 활용할 수 있다. 소비재 기업의 가장 큰 고민은 “어떻게 하면 우리 물건을 살 만한 사람을 정확히 골라내느냐”다. 골라내는 실력이 정확할수록 광고 효율과 매출이 올라가게 된다. 최안나 IBM 왓슨 기술영업팀 매니저는 “페이스북·트위터 같은 SNS에 올린 글을 읽고 필자의 성격을 추론하는 일도 가능하다”며 “기업으로서는 인구학적 분석이나 구매 패턴 분석보다 훨씬 강력한 소비자 분석 수단을 확보하게 된 셈”이라고 설명했다.
편지·에세이는 쉽지만 연설문은 분석 힘들어
한계도 있다. 감정이 잘 드러난 편지나 에세이로는 분석이 쉽지만, 연설문·기사같이 감정이 배제된 글로는 성향 분석이 쉽지 않다. 문재인 대통령이 사흘간 직접 수정했다고 알려진 광복절 경축사를 입력했더니 왓슨은 필자에 대해 “라틴 음악을 좋아할 것 같다”는 다소 엉뚱한 분석을 내놨다. 그 외에 “옷을 살 땐 품질을 많이 따지고, 온라인 광고에 영향을 많이 받을 타입이다. 공포영화를 싫어하고 신용카드는 별로 안 쓸 것 같다”고 풀이하기도 했다.
한국어는 인공지능 프로그램 왓슨이 구사하는 아홉 번째 언어다. 한국어 서비스 개발엔 SK C&C가 협력했다. 같은 날 SK C&C는 서울 종로구 서린빌딩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왓슨 기반의 기업용 인공지능 서비스 ‘에이브릴’을 출시했다.
에이브릴은 일종의 ‘프로그램 뷔페’다. 자사 맞춤형 인공지능 서비스를 원하는 기업은 ▶대화 ▶자연어 이해 ▶자연어 분류 ▶검색 및 평가 ▶문서 변환 ▶번역 ▶이미지 인식 ▶성향 분석 등 여덟 가지 한국어 서비스 중 원하는 것을 골라 담아 조합하면 된다. 예를 들어 금융회사가 고객 상담을 맡을 대화형 인공지능 서비스를 개발한다고 치자. ‘대화+자연어 이해+자연어 분류+검색 및 평가’ 서비스를 조합하면 인공지능이 고객의 질문을 듣고 의도를 분석해 상황에 맞는 대답을 내놓을 수 있다. 여기에 고객 성향에 따른 상품 추천을 하고 싶다면 ‘성향 분석’ 서비스를, 외국인 고객 상담까지 하고 싶다면 ‘번역’ 서비스를 추가하면 된다.
SK C&C 민경동 홍보팀장은 “복잡한 프로그램 언어를 모르는 이들도 필요한 프로그램을 골라 새로운 서비스를 만들어 내는 일이 그리 어렵진 않다”며 “AIA생명이 고객 상담용 서비스를 개발하는 등 기업과의 제휴도 활발하다”고 밝혔다. |